네이버 '선생님 우대 프로그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텐센트, 10TB 클라우드 저장소가 무료 (8) | 2013.09.01 |
---|---|
20130830 트래커 모음 (1) | 2013.08.30 |
우분투 설치 후 ‘네트워크 서비스 탐색 사용하지 않기 (0) | 2013.08.11 |
우분투 13.04 플래시 플러그인 설치 (0) | 2013.08.11 |
Ubuntu 한글 입력기 nabi 트레이에 넣기 (1) | 2013.08.10 |
우분투 설치 후 ‘네트워크 서비스 탐색 사용하지 않기
/etc/default/avahi-daemon 파일을 열어서 AVAHI_DAEMON_DETECT_LOCAL 값을 1에서 0으로 수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0830 트래커 모음 (1) | 2013.08.30 |
---|---|
네이버 '선생님 우대 프로그램' (0) | 2013.08.23 |
우분투 13.04 플래시 플러그인 설치 (0) | 2013.08.11 |
Ubuntu 한글 입력기 nabi 트레이에 넣기 (1) | 2013.08.10 |
[Tutorial] Howto install ralink RT5370 wifi adapter N150UA (0) | 2013.08.10 |
우분투 13.04 플래시 플러그인 설치
sudo apt-get install flashplugin-installer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선생님 우대 프로그램' (0) | 2013.08.23 |
---|---|
우분투 설치 후 ‘네트워크 서비스 탐색 사용하지 않기 (0) | 2013.08.11 |
Ubuntu 한글 입력기 nabi 트레이에 넣기 (1) | 2013.08.10 |
[Tutorial] Howto install ralink RT5370 wifi adapter N150UA (0) | 2013.08.10 |
[하츠] 다양한 개인 조립PC 구매 & 하츠 견적 가이드 [2013년 8월호] 컴퓨터 견적 (0) | 2013.08.09 |
Ubuntu 한글 입력기 nabi 트레이에 넣기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우분투 재부팅)
아래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입력하면 셋팅되어 있는 값이 나온다.
- $> gsettings get com.canonical.Unity.Panel systray-whitelist
- ['JavaEmbeddedFrame', 'Wine', 'scp-dbus-service', 'Update-notifier']
- $> gsettings set com.canonical.Unity.Panel systray-whitelist "['JavaEmbeddedFrame', 'Wine', 'scp-dbus-service', 'Update-notifier', 'Nabi']"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설치 후 ‘네트워크 서비스 탐색 사용하지 않기 (0) | 2013.08.11 |
---|---|
우분투 13.04 플래시 플러그인 설치 (0) | 2013.08.11 |
[Tutorial] Howto install ralink RT5370 wifi adapter N150UA (0) | 2013.08.10 |
[하츠] 다양한 개인 조립PC 구매 & 하츠 견적 가이드 [2013년 8월호] 컴퓨터 견적 (0) | 2013.08.09 |
[Tip] 리눅스 터미널 명령어 모음 (2) | 2013.08.02 |
[Tutorial] Howto install ralink RT5370 wifi adapter N150UA
우분투를 설치하고 N150UA 드라이버가 안깔려서 일주일 고생해서 이제 해결 ㅠㅠ
역시 새로운걸 시작하려니 힘드네요 ㅋ
http://forum.stmlabs.com/showthread.php?tid=8333
[Tutorial] Howto install ralink RT5370 wifi adapter
I eventually came across THIS thread which is where most of the correct information came from. All credits to thoses switched on people I just condensed things a little for CB2.
1. download driver archive 2011_0719_RT3070_RT3370_RT5370_RT5372_Linux_STA_V2 .5.0.3_DPO.bz2 (RT8070/RT3070/RT3370/RT5370/RT5372 USB 03/28/2012 2.5.0.3 from THIS SITE.
2. unpack the archive and navigate into the top level directory just extracted:
tar jxvf 2011_0719_RT3070_RT3370_RT5370_RT5372_Linux_STA_V2.5.0.3_DPO.bz2
cd 2011_0719_RT3070_RT3370_RT5370_RT5372_Linux_STA_V2.5.0.3_DPO
3. modify the following code in "os/linux/config.mk" as below:
HAS_WPA_SUPPLICANT=y
HAS_NATIVE_WPA_SUPPLICANT_SUPPORT=y
WFLAGS += -DCONFIG_STA_SUPPORT
4. to quieten down the debugging modify "sta/sta-cfg.c":
remove "#ifdef DBG" on line 4095
remove "endif /* DBG */" on line 4693
5. to change the name from ra0 to wlan0 modify "include/rtmp_def.h" and change "ra" to "wlan" in the following lines:
#define INF_MAIN_DEV_NAME "ra"
#define INF_MBSSID_DEV_NAME "ra"
6. make and install the modified driver
sudo make
sudo make install
modprobe rt5370sta
추가 : /etc/modprobe.d/blacklist.conf 편집
blacklist rt2800usb
blacklist rt2800sta
7. reboot and check with lsusb lsmod and ifconfig to make sure all is working as required in the operating system.
8. the CB2 setup program didnt work for me but the xbmc network manager
addon worked perfectly so I downloaded and use that rather than doing it
all via the operating system.
I hope this helps someone else trying to get an RT5370 wifi adapter up and running.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13.04 플래시 플러그인 설치 (0) | 2013.08.11 |
---|---|
Ubuntu 한글 입력기 nabi 트레이에 넣기 (1) | 2013.08.10 |
[하츠] 다양한 개인 조립PC 구매 & 하츠 견적 가이드 [2013년 8월호] 컴퓨터 견적 (0) | 2013.08.09 |
[Tip] 리눅스 터미널 명령어 모음 (2) | 2013.08.02 |
사이트 비번을 바꾸어 보아요.. (3) | 2013.07.14 |
[하츠] 다양한 개인 조립PC 구매 & 하츠 견적 가이드 [2013년 8월호] 컴퓨터 견적
원본글 :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computer&no=217153
2013/07/09 - [성순군] - [하츠] 다양한 개인 조립PC 구매 & 견적 가이드 [2013년 7월호]
8월호 업데이트 했습니다.
- 죄송하지만, 어떤 내용이던지 쪽지문의는 확인은 해도 답장은 안드립니다. 답장없다고 서운해하지 마세요..^^;
- 하스웰이 조금씩 안착하나 싶었지만, 이젠 너무나 성능이 상향표준화 된건 아닌가 싶어요..
전반적으로 3일 동안 여기저기 후기나 상품정보들 보고도
확, 땡겨서 이렇게 맞추시면 좋을거 같아요! 하고 추천드릴만한게 별루 없네요..ㅠㅠ
- 각 부품의 제조사 및 브랜드는 개인 호불호이니 참고하세요.
단, 기성 PC견적들을 제시하는 부품견적서와는 다르게 그냥 유의할 점을 중심으로, 설명드릴께요.
뽐뿌 사이트 성격에 맞게 [무조건 저렴한게 아닌, 현명하고 알뜰하게 잘 알아보고 사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신다면 좋겠네요.
개인적으로 견적 문의는 쪽지로 받지 않습니다. 양해부탁드리겠습니다.
6. 개인적으로 추천, 하츠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견적
- 견적은 맞추는 본인의 자유입니다. 취향/필요한 조건/환경 전부 다~ 다르겠죠.
따라서, 아래의 견적은 제 주관적으로 조심스럽게 추천드리는 것.
강요도 아니고, 더 좋다 우기지도 않았습니다. 참고하세요 ㅎ_ㅎ
- 그냥 진열상품 구경하신다 생각하시고 훍어 보신다음에, 고르실때는
본인에게 필요한 포트(DVI,HDMI), 환경, 맘에 드는 제조사 등 직접
선택하시고,
- 1번~5번 부품들 자유자재로 섞어 쓰셔도 무방합니다.. 터지지 않아요;
- 최종업데이트 2013/08/ 05일
(1) 벨류_뽐PC [배송비 제외, 조립비제외, 다나와 견적 기준 : 25만원]
USB 3.0 같은거 필요없으시다면, 20만원에 가장 가치있는 개인 PC를 만나보세요.
- 합리적인 가격의 가치를 아는 뽐뻐라면, 최저가의 아쎄뽐!!
- 웹서핑, 동영상 감상, 포토샵, 일러스트 쾌적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 DVI / D-SUB 포트 지원. HDMI 포트 미지원.
2) SSD 스탠다드 [배송비 제외, 조립비제외, 다나와 견적 기준 : 39만원]
말그대로 스탠다드. 하지만, 좀 놀라실 정도로 부드럽고 빠른 표준.
- 멀티미디어 스탠다드, 1080p 영상 감상 & 드라마, 애니 각종 영상 감상.
- 기본적인 한글 / PPT/ 엑셀 /포토샵 등 오피스 툴 10초만에 띄우는 기적을 오래도록 보고 싶으신 분.
- 웹서핑, 동영상 감상, 포토샵, 일러스트 쾌적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 USB 3.0 지원 /DVI 포트 지원.
(3) 벨류 멀티코어 PC[배송비 제외, 조립비제외, 다나와 견적 기준 : 55만원]
저렴한 가격에 만나보는 4개의 두뇌, 그리고 믿을 수 없는 내장 그래픽 성능.
-게임보다 멀티미디어 최적화. 다중 코어가 필요하지만 돈이 없는 학생들에게 추천.
- 다재다능. 포토샵/일러스트/ 심지어 간단한 아프리카 방송을 비롯 다양한걸 즐기시는 분.
- 3년을 한결같이 포멧 한번 안해도 꾸준히 정이 가는 시스템을 원하시는 분.
- USB 3.0 지원 / HDMI 지원 / SSD 128기가 포함.
- 내장그래픽이라 400w 파워, 외장 추가시 500w 파워 추천.
(4) 게이밍 표준PC [배송비 제외, 조립비제외, 다나와 견적 기준 : 66만원]
LOL를 비롯한 다양한 온라인 게임을 마음껏 플레이할 수 있는 PC
- 대중적인 다수의 온라인 게임 원활한 작동 및 정말 쓸만하고 오래 쓸 수 있는 PC
- 다재다능. 포토샵/일러스트/ 심지어 간단한 아프리카 방송을 비롯 다양한걸 즐기시는 분.
- 각종 온라인 & 패키지게임 및 다양한 활동을 할 수있습니다.
- USB 3.0 지원 / HDMI 포트지원 / SSD 128기가 포함.
GTX 760의 파워를 담은 고급형 게이밍 PC
- 빅타워 케이스
- USB 3.0 포트 2개 / 리얼텍 사운드카드 등 호환성 좋은 부품 채택
- 그래픽카드에 투자하여, 근본적인 게임프레임 향상에 초점.
PC는 견적을 보는 것만이 중요한게 아니라, 직접 구매/조립/설치 까지 끝나야 비로소 완료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아무리 다나와를 통해 가격을 어림짐작 하여 산출 하더라도, 직접적으로 구매하시는 분들에게
가장 필요하고, 좋은 정보는 바로 [어디서 살까?] 라는 질문에 명확한 답변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의 모든 글을, 컴퓨터는 아무것도 모르는 생초보는 [도대체 그래서 어쩌란 말이지..?] 라고 생각하실지도 모릅니다.
그러니, 사실 이 글의 가장 중요한 정보는 지금 이 마지막에 있을지도 모릅니다.
(6) 안전거래 구매 방법 및 신뢰높은 거래처 추천
다나와에서 PC 견적을 참고하여, 개인 기호에 맞춰 온라인 견적을 뽑은 다음,
아래, 쇼핑몰별 견적보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옵니다.
그러면, 카드/현금 동일가 견적 혹은 현금가 견적서가 나오고,
최저가 유통사가 차례대로 나오는데요.
이때, 판매점 미니샵으로 가지 마시고,
다나와 안전결제 구매를 눌러주시면,
앞으로 모든 결제 및 배송 그리고, 구매결정 까지 다나와에서 대행해주고 있습니다.
믿고 거래하실 수 있기에, 업체 평따위 필요없이
카드결제로 깔끔하게 구매하시려는 분에게 추천드립니다^^
1. 컴퓨존 2. 아이티플러스
위 업체는 대한민국 명실공히 신뢰성이 가장 높은 사이트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다나와에서 견적 뽑아, 쇼핑몰별 가장 저렴한 곳에서 다나와 안전거래로 구매하시는 것보다
위 사이트 중 한군데 단골로 들어서, 꾸준히 거래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마일리지 적립도 있지만,
판매점이면서도, 사후A/S가 친절한 아주 좋은 거래처들입니다.
아이티플러스 같은 경우, 주문과 동시에 모든 과정을 영상으로 녹화 -> MMS로 전송해주는 업체입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가장 싸게 구매하는 것이 좋은게 아니라,
가장 현명하게 구매해서 나중에 스트레스 받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라 말씀드릴께요.
어느정도 경험을 바탕으로 한 가이드이기에, 부족한 부분이 많겠지만, 너그럽게 봐주시고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그럼 이만 ... 견적은 30~40일 단위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
취향은 개인마다 다르니, 개인의 취향을 존중합니다. 조립PC는 저렴한게 다 좋은 것만이 아니며,
개개인의 스타일과 취향에 따라 전부 마음대로 골라 담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반면에,
품질보증에 관한 리스크가 크다는건 모두들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요즘은 PC성능이 상향 표준화되어 있어서, 어느정도 이상만 된다면 만족하며 쓰실거라 생각하며-
제가 지금부터 추천드릴 4가지 스타일의 견적은, 저 하츠가 개인적으로 추천드리는 견적이며,
절대 진리가 아니고, 참고하시고 도움이 되신다면 다행이라는 마음으로 쓰는 견적입니다.
아닌데요? 안좋은데요? 왜 그걸 추천하시죠? 와 같은 의견은 당연히 있으리라 짐작하지만,
근거 없이 다짜고짜 따지고 들면서 기분상하게 하는 말투에는 대응하지 않겠습니다.
조립 횟수만 300회가 넘은 나름(?) 조립 매니아 로서 조립 후에 만족감이 높았고, 컴플레인 없이
오래도록 잘 쓰고 있는 경험에 우러러 나온 견적이라, 많은분들의 적절함 공감대와 중복되는
추천일거라 조심스럽게 생각해봅니다^^
1. 각 부품별로 중요하게 보아야할 사항 [가장중요한건 사후 A/S 처리입니다.]
- 같은 칩을 쓰고, 같은 사양의 같은 제품이라도, 제조사 유통사에 따라 제품명이 달라집니다.
조립 PC를 구매하실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보증기간 & 사후처리의 깔끔함 등이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므로, 가격이 저렴하다 해서 무조건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A/S 라는게 개인마다, 상황마다 다르기 때문에, 무조건 진리라고는 할 수 없지만,
보편 다수가 평이 좋다고 하는 제품들과 그 유통사를 추천드립니다.
아래와 같은 유통사 & 제조사 제품을 개인적으로 추천합니다.
추천하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일명 [묻지마] 서비스, 불량시 새제품 선배송 후 수거시스템을
친절하게 처리해준 업체별입니다.
- 3R 시스템 / 한정테크 / 잘만 / 조탁 / 아수스
2. 핵심부품 CPU는 일단 근본적인 [클럭당 효율, 성능을 보셔야 합니다.]
- 코어갯수에 따라 성능이 달라집니다. 클럭속도가 높으면 속도가 빠른거 맞습니다. 맞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같은 동작 속도라도, 성능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점을 유의 해주세요. 코어가 많고, 클럭숫자가 높아도,
실 성능이랑은 별개입니다. 게임이나 특정 분야에서는 아무리 옥타코어라도 스코어 점수가 쿼드코어보다
못한 제품이 있는 이유입니다. 그러니, 우리는 듀얼코어? 쿼드코어? 를 보기 이전에,
기본적인 성능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본인에게 필요한 장르의 실 성능 벤치를 미리 볼 필요가 있습니다.
좋은 제품을 현명하게 구매하기 위함이지, 우리가 얼리어뎁터는 아니기에, 최신제품 보다는
이미 검증된 좋은 제품을 사는게 유리하며 이 검증 과정은, 쿨엔조이/파코즈/플레이웨어즈 등
국내에 이미 신뢰가 검증된 사이트의 리뷰&벤치와 해외 각종 벤치 사이트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 절대 다나와 상품의견 / 커뮤니티 사이트의 근거 없는 비난, 폄하 덧글로 제품 판단하는걸 피하세요.
3. 뻥파워가 무섭죠? PC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은 바로 [전원공급 장치, 파워 서플라이입니다.]
- 컴퓨터는 전자제품입니다. 전기를 쓰는 제품이죠. 그렇기 때문에 전원공급 장치가 가장 중요합니다.
파워가 PC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말은 100번 들어 아쉬울 것이 없는 말입니다. 전기를 쓰는 장비에
전기를 공급해주는게 안정적이지 않는다면, 당연지사 고장나기 쉽상입니다.
- 근데, 어떤 제품을 써야할지 도무지 감이 오질 않습니다. 너무나 많은 제품들이 생겨납니다.
우리는, 현명하게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몇가지 팁을 가질 수 있는데요. 먼저, 판매 1순위가 아니라,
누적판매 1순위를 봅니다. 꾸준히 찾게 되는 제품이 결국 안정적인 제품일 수 있는 가능성이 조금은
더 힘을 얻게 됩니다. 내놓으라 하는 고성능, 고가의 시소닉 파워도 불량은 납니다.
그 부분은 어쩔 수가 없습니다.
- 저렴하면 전부 다 뻥파워? 는 아닙니다. 본인이 사용하는 전력대비 안정성이 고려됩니다.
4. 제조사 브랜드가 아니라, 실제 제작업체가 어디인지 알아보세요. [OEM이 중요합니다.]
- 실제로, 브랜드 값으로 비싸기만 하고, 실제 부품은 저렴한 곳에 OEM을 맞기는 곳이 많습니다.
큰 예로, 삼성 모니터가 좋다고요? 삼성 패널이 좋다면, 이해합니다. LG 모니터가 좋다고요?
LG의 IPS 기술을 사용한 LG 패널이 좋은거죠. 삼성, LG 제조사이지만, 실제 패널은 중국 OEM
TN 패널을 사용, 즉 중국산 패널을 쓴 제품은 아무리 삼성이고 LG라도 좋지 않은 제품입니다.
- 이제는 LG 모니터도, LG IPS 패널을 쓰면, 쓴다고 광고하는 시대입니다. 안쓴다면? 그냥
허울 좋은 LED 백라이트라는 말만 써놓고 말겠지요. 모니터 외 다른 부품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 마우스, 키보드 등 로지텍이 OEM을 주는 업체에서 생산된 마우스가 다른 브랜드를 가지고 나오면
결국 물건은 같은 물건입니다. 따라서, 현명하게 물건을 구매하려면, OEM 준 업체, 즉 실제작 업체가
어디 것인지를 파악하는게 중요합니다. 파워, 마우스, 모니터 등이고려대상입니다.
5. 케이스는 적당한 통풍, 효율성 그리고 [내가 원하는 디자인이 甲입니다. ]
- 쿨링이 중요하답시고, 120mm를 과다하게 덕지덕지 붙여놓고, 쿨링의 왕이다! 근데, 과연
정말 평범한 우리에게 그렇게 많은 흡기와 베기 쿨링 시스템이 필요할까요? 답은, No 입니다.
고사양 고성능인 만큼 발열이 따릅니다. 하지만, 오버클럭이 동반되지 않는 이상
모두, 감당가능할 정도의 제품이 출시가 됩니다. 그러니, 유행따라 간다고 너무 과하게
쿨러가 많은 제품, 그럼에도 저렴하다고 유혹하는 제품들은, 쉽게 먼지만 쌓이고,
덜덜 떨리고, 내구성이 좋지 않은 제품으로 전락하기 마련입니다.
- 케이스는 기본적으로 흡기와 베기, 쿼드코어 기준으로 120mm 펜 하나씩만 있어도
생명에 지장을 주지는 않습니다. 더 많이 원하는 것은 더 온도를 하락시키고 싶은 매니아의 마음.
일반 사용자에게 그 많은 쿨러는 결국 먼지 쌓이는 골칫거리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내가 구입한 조립 PC에 얼굴을 담당하는 케이스입니다. 본인이 원하는 디자인을 보세요. 그게 최고입니다
- 물론 기본적으로, USB 3.0 을 지원하는가. 베이 갯수가 얼마나 되는가. 두께가 얼마 되는가는
따져봐야겠지만, 그걸 다 무시하고라도, [내가 끌리는 디자인] 을 선택하세요. 볼때마다 이쁜 그런..^^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한글 입력기 nabi 트레이에 넣기 (1) | 2013.08.10 |
---|---|
[Tutorial] Howto install ralink RT5370 wifi adapter N150UA (0) | 2013.08.10 |
[Tip] 리눅스 터미널 명령어 모음 (2) | 2013.08.02 |
사이트 비번을 바꾸어 보아요.. (3) | 2013.07.14 |
[엑셀] 페이지나누기 모두 원래대로(엑셀자동설정) (0) | 2013.07.13 |
[Tip] 리눅스 터미널 명령어 모음
pwd
설명 :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절대 경로 명으로 출력한다.
ls [옵션] [파일명]
설명 : 윈도우 도스창의 'dir' 명령과 같은 명령으로, 현재 디렉토리 내의 파일과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를 출력해준다. [옵션]에는 -로 시작하여 아래와 같은 옵션을 지정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옵션을 동시에 지정할 수 있다. [파일명]에는 파일명이나 디렉토리명을 지정할 수 있다.
옵션
-a 디렉토리 내의 모든파일(.으로 시작되는 파일 포함)을 출력
-i 파일의 아이노드(inode)번호를 출력
-h 파일의 크기를 쉬운 단위로 표시(k: 킬로바이트, m: 메가바이트)
-l 파일의 다양한 정보를 함께 출력(소유자 정보, 권한 정보, 크기, 날짜)
-m 파일을 쉼표로 구분하여 가로로 출력
-s kb 단위의파일크기를 출력
-t 파일을 최근에 생성된 시간순으로 출력
-F 파일의 형태와 함께 출력한다('*' : tlfgodvkdlf, '@' : 심볼릭링크, '/' : 디렉토리)
-R 서브 디렉토리의 내용을 포함하여 출력(즉 하위 디렉토리 내용을 모두 출력)
-S 파일을 크기순으로 출력
--help 도움말 출력
cd [디렉토리명]
설명 : cd(change directory) 작업 디렉토리를 바꾼다.
옵션
cd [엔터] 홈 디렉토리로 이동
cd ~ 또는 cd ~/ 홈 디렉토리로 이동
cd ~userid userid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
cd ~/path/path2 홈 디렉토리 아래 path/paht2로 이동
cd - 바로 앞에 작업한 디렉토리로 이동
cd directory 지정한 directory로 옮겨진다
cd / root directory로 옮겨진다.
cd .. 현재 작업 directory의 parent directory로 옮겨진다.
작업하고 있는 경로를 기억시킨 뒤 나주에 다시 그 경로로 돌아오려면, 'pushd /겨로/'(현재 경로 기억 예 : pushd .) 하여 경로를 기억시킨 뒤 popd라는 명령을 주면 기억한 경로로 돌아간다. 이 명령은 한 번만 쓸 수 있다.
cp [옵션] [원본파일명] [목적 파일명 / 디렉토리명]
설명 : 도스창의 'copy'명령과 같은 명령으로 하나 이상의 원본 파일을 목적 파일이나 디렉토리로 복사한다. [원본 파일명]에는 하나 이상의 파일명을 지정할 수 있고 [목적 파일명 / 디렉토리명]에는 복사될 목적 파일명이나 복사된 파일이 위치할 목적 디렉토리를 지정할 수 있다. [옵션]에는 아래와 같은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
옵션
-i 파일 복사시 동일 파일명이 있을시에 사용자에게 덮어 쓸 것인지를 물어봄
-f 동일파일명 발생시에도 모두 강제적으로 복사함
-p 원본 파일의 시간 및 소유 권한 보존
-r 포함된 자식 디렉토리까지 모두 복사
mkdir [옵션] [파일명]
설명 :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든다. write permission이 허용되어야만 directory를 만들 수 있다.
옵션
-p 만들고자하는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가 없는 경우 상위 디렉토리까지 같이 만든다.
rmdir [옵션] [파일명]
설명 : 디렉토리를 제거하기 위한 명령어, whrite permission이 허용되어야만 directory를 제거할수 있다.
옵션
-p 제거된 디렉토리에 대한 메시지가 표시됨
-s 제거된 디렉토리에 대한 메시지가 표시되지 않음.(Default)
more [파일명]
설명 : 한 화면씩 보기. 유닉스에서 커다란 텍스트 파일을 보는 것이나 많은 수의 파일과 서브디렉토리를 포함하는 디렉토리의 리스트를 보이게 하는 것은 아주 빠른 속도로 화면이 넘어가게 한다. 이럴 경우에 more나 pg 명령을 사용하여서 한 하면씩 보이게 할 수 있다. more filename을 입력하면 filename으로 지정한 파일을 한번에 한 화면에 해당하는 양 만큼씩 보여준다. 또한 출력을 more 명령으로 파이프(redirect) 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ls -al |more 는 ls 명령의 출력을 more로 보내어서 리스팅을 한 페이지씩 보이게 한다. more를 사용해서 파일을 살펴보는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옵션
스페이스, Ctrl-D 다음 한 화면을 보여줌
엔터 누를 때마다 화면의 아래쪽에 한 줄씩 더 보여줌
q more 정지
h 도움말
/expr expression 검색
rm [옵션] [파일명]
설명 : rm(remove) 파일(디렉토리)을 삭제한다. 삭제하고자 하는 디렉토리에 파일이나 부 디렉토리가 없어야만 삭제가 가능하다.
옵션
-f 디렉토리 안의 파일을 삭제할 때 사용자에게 확인을 요구하지 않음
-r 인수 list 에서 지정한 디렉토리 혹은 그 아래의 subdirectory를 삭제
-i whrite permission 이 없는 파일의 삭제를 위해 대화식으로 확인
-p 디렉토리 dir-name과 비어있는 부모 디렉토리를 사용자가 제거할 수 있으며, 전체 경로명이 삭제 되거나 어떤 이유로 인해 경로명의 일부가 남은것과 무관하게 표준출력에 메세지가 출력됨
-s -p 선택항목 지정시 표준오류에 출력되는 메시지를 삭제
mv [옵션] [파일명]
설명 : mv 명령은 파일의 위치를 바꾸거나 이름을 바꾸는데 사용을 한다. mv 명령은 이미 존재하는 파일을 덮어쓰기를 한다. 'mv file1 file2'라고 입력을 하는 것은 file1의 이름을 file2라고 바꾼다. 만약 file2 라는 파일이 이미 존재한다면 file1의 내용물로 교체가 된다. 파일을 한 디렉토리에서 다른 디렉토리로 옮기기 위하여서는 경로를 함께 입력하여 주면 된다. 같은 이름의 파일이 이미 존재하여서 그것을 덮어쓰기를 하지 않으려면 -i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한번에 여러 개의 파이을 옮길수도 있다. 마지막이 파일들을 옮겨 넣고자 하는 디렉토리이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mv profit sales.txt wrksht repotrs'라고 하면 profit sales.txt wrksht를 모두 reports 디렉토리로 이동시킨다.
옵션
-f 대상 파일이 존재할 대 새로운 파일로 대체
-i 대상파일이 있을 때 확인 후 작업
-f 파일의 이동 과정을 보여준다.
find [옵션] [파일명]
설명 : 이제는 find라는 명령어를 알아보자. find라는 명령어는 매우 융통성이 있고 강력한 명령어이다. 파일을 이름, 수정날짜, 소유주, 허가 등을 기준으로 하여 검색하게 해준다.
옵션
-name filename filename과 일치하는 파일을 찾음(*,? 또는 and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따옴표 안에 표시를 하거나 백슬래시를 앞에 주고 사용함)
-print 현재의 경로 이름을 표시
grep [옵션] [패턴] [파일명]
설명 : grep 명령을 사용하면 파일 내부에 있는 텍스트의 내용으로 파일을 찾을 수 있다. 지정한 문자들을 포함하는 행을 찾을 때마다 그 행을 화면에 표시한다. 만약 grep 하나 이상의 파일을 검색중이라면 그 문자들이 있는 파일의 이름을 표시한다.
옵션
-c 파일 내에서 패턴과 일치하는 줄의 총수를 구한다.
-h 여러 개의 파일을 검색할 때, 출력에 파일명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한다.
-i 대, 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다
-n 일치하는 줄의 줄 번호도 같이 출력한다
-v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줄만 출력한다
head [-카운트] [파일명]
설명 : 파일의 첫 부분부터 카운트로 정한 숫자만큼의 줄 수를 보여주는 명령으로 카운트 징정을 안 하면 디폴트로 10이 된다.
tail [-카운트] [파일명]
설명 : 파일의 카운트로 정한 숫자만큼의 끝 부분 줄 수를 보여주는 명령으로 카운트를 지정을 안하면 디폴트로 10이 된다.
mount [-t 파일시스템] [장치명] [마운트디렉토리]
설명 : 각 운영체제나 혹은 CDROM같은 경우에는 저마다 자신의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마운트라는 것은 특정 디렉토리에 자신이 원하는 파일 시스템을 연결하여 리눅스에서 볼 수 있는 명령이다.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 : ext2, ext3, ext4
윈도우 파일 시스템 : vfat, ntfs
CDROM의 파일 시스템 : ISO9660
du
설명 : 사용자 자신의 디스크 사용 상황을 보고해 준다.(단위=Block)
cat [파일명]
설명 : 파일의 내용을 보거나 표준입력(키보드)으로 입력된 문자들을 파일로 저장할 때 쓰는 명령이다.
diff
설명 : diff(differential file comparator) 두개의 파일이 일치되도록 변경시키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줌.
rpm [옵션] [파일명] <-- rpm명령어는 redhat 배포본 관련 패키지 명령어입니다.
설명 : 패키지를 설치 및 업그레이드
옵션
-i, -U 설치 및 업그레이드 옵션
-e 패키지의 제거
-q 패키지 질의
-V 패키지 검증
만약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를 설치하려 한다면 -i 옵션을 -U 옵션을 써야한다.
만약 rpm -e rpm 명령을 실해하면 rpm 은 사라지기 때문에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
만약 지웠다면 www.rpm.org 에 가서 rpm 소스를 가져다 설치하는 수밖에 없다.
gzip [옵션] [파일명]
설명 :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압축 프로그램으로 속도 면에서나 압축률 면에서나 상당히 좋은 프로그램이다.
옵션
-d 압축을 해제하는 옵션
-f 압축을 하거나 해제할 때 같은 이름의 파일이 존재할 경우 덮어쓰기를 한다.
-l 압축파일의 정보를 보여 준다.
-r 압축 대상의 디렉토리까지 압축을 수행한다.
하나의 파일밖에 압축을 못한다.
tar [옵션] [파일명]
설명 : tar 명령어는 여러 파일을 하나로 묶는데 사용한다. tar는 파일을 압축하지 않지만 gzip와 같이 쓰면 매우 효과적이다.
옵션
c 새로운 tar파일의 생성
x 기존의 tar파일을 푸는데 사용
u 업데이트를 위한 옵션
t tar파일을 푸는 것이 아니라 내용을 보는 옵션
v 파일을 묶거나 풀때의 작업을 보여주는 옵션
z gzip를 이용해 tar.gz 혹은 .tgz로 묶인 파일을 풀 때 사용하는 옵션
more [-ncdflspu] [+줄번호] [파일이름(들)]
설명 : 한 화면씩 출력을 보여주는 유틸리티로 한 번에 전체적으로 볼수 없는 파일은 이것을 사용하여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옵션
-n 여기서 n은 숫자를 의미하며, 숫자는 출력 윈도우의 행수를 지정한다.
-c 위에서부터 한 행씩 지운 후 한 행씩 출력한다. 보통은 화면 전체를 지운후 각 행을 출력하기 시작한다. 특정한 터미널을 위해 사용
-d 스페이스나 q 키를 누르라는 프롬프트를 출력
-f 화명의 행이 아닌 논리적인 행 수를 계산한다. 보통은 긴 칼럼의 행은 화면에서 행바꿈을 하여 새로운 행으로 계산된다 -f 옵션을 사용하면 이러한 행은 계산하지 않는다.
-s 여러개의 빈 공백행은 하나로 취급한다.
-p 스크롤하지 않는다. 대신 화면을 지우고 출력한다.
-u 밑줄 치기를 금지 한다.
return 한줄만 스크롤
D 빈 페이지만 뒤로 이동
space 한 페이지만 뒤로 이동
B 한 페이지 앞으로 이동
H 도움말을 제공
V vi 에디터를 부름
Q 종료
touch [-amc] [MMDDhhmmYY] [파일명]
설명 : 파일의 액세스 시간이나 갱신 시간을 수정
옵션
-a 파일의 액세스 시간을 바꿈
-m 파일의 갱신 시간을 바꿈
-c 파일명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새로운 파일을 만들지 않음
YY 연도
DD 날짜
hh 시간
mm 분
fdisk [-l] [-v] [-s partition] [device]
설명 : 디스크의 파티션을 변경한다.
옵션
-l 파티션 테이블의 목록을 출력
-v fdisk 버전 출력
-s partition DOS 파티션이 아니라면 해당 파티션의 크기를 출력
device device 에는 몇번째 하드디스크를 파티션 할것인지 알려주어야 한다. 아래는 리눅스에서 각각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이름이다.
첫번째 설치된 하드 드라이브 : fdisk /dev/hda
두번째 설치된 하드 드라이브 : fdisk /dev/hdb
SCSI의 첫번째 하드 드라이브 : fdisk /dev/sda
SCSI의 두번째 하드 드라이브 : fdisk /dev/sdb
'm' 명령어로 도움말을 볼수 있다.
ps
설명 : 현재 자신의 리눅스 서버에서 어떤 프로세스들이 활동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할떄 'ps' 명령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s 명령을 사용하면 현재 자신이 실행한 프로세스의 목록을 살펴볼수 있으며, '-aux' 옵션을 사용하면 시스템에서 동작중인 모든 프로세스를 살필수 있다.
사용키
<Space> 상황 즉시 갱신
<s> 갱신 시간 지정(초 단위)
CPU 사용률 기준으로 정렬
<M> 메모리 사용률 기준으로 정렬
<u> 지정한 사용자의 프로세스만 나타남
<k> 지정한 프로세스 kill
<h> 도움말
passwd [옵션] [계정]
설명 :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를 등록하거나 변경시키는 경우 이용되는 명령어이며 특히 슈퍼유저는 다른 유저의 패스워드도 변경할수 있다.
옵션
-l 사용자의 계정에 lock을 건다.
-d 사용자의 계정에 패스워드를 해체. 즉 패스워드 없이 로그인이 가능해 진다.
chmod [옵션] [파일명, 디렉토리]
설명 : 파일의 권한을 바꾸는 명령어
옵션
-R 서브디렉토리까지 모든 파일의 권한을 바꾼다.
chgrp [옵션]
설명 : 파일의 그룹을 바꾸는 명령어
옵션
-R 서브디렉토리까지 모든 파일의 그룹을 바꾼다.
chown [옵션] [파일명]
설명 : 파일의 소유자를 바꾸는 명령어
옵션
-R 서브디렉토리까지 모든 파일의 소유자를 바꾼다.
jobs
설명 : 현재 진행중인 작업들을 출력
옵션
-l 현재 작업하고 있는 디렉토리와 프로세스 그룹 ID를 출력
fg
설명 : 작업을 전명 작업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전면 작업이란 모니터에 실행되는 모습을 사용자에 직접 보이며 작업하는 것을 말한다.
bg
설명 : 작업을 후면 작업으로 전화하는 것으로, 후면 작업이란 전면 작업과는 반대로 사용자의 눈에는 실행되는 모습을 보이지 않으면서도 실제로는 일을 하는 것을 말한다. 백그라운드 작업은 "명령어 &"로 명령어 다음에 "&" 표시를 붙여서 후면 작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ate [yymmddhhmm [ss] ]
설명 : date는 위아 같이 주어진 인수가 없다면 현재 시스템의 시간과 날짜를 출력한다. 만약 주어지는 인자가 있다면 그에 따라서 시스템의 시간과 날짜를 변경한다.
yy는 연도를 나타내는 두 숫자이며, mm은 월을 나타낸다. 그리고 dd는 날짜, hh는 24시간 단위로 표현되는 시견이며, mm은 분을 의미한다. 끝의 ss는 초를 의마하는 부분으로 명시하지 않아도 상관없는 부분이다.
cal [-jy] [ [달] 연도]
설명 : 서기 원년부터 9999년까지의 달력을 볼 수 있다.
인수를 하나만 준다면 그 숫자는 연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두 개의 숫자를 준다면 앞의 것을 월, 그 다음은 연도를 의미한다.
옵션
-j 1월 1일 부터 날짜 수를 계산하는 julian 날짜를 표시
-y 올해의 달력을 표시
kill [-signalID] PID
설명 : kill 명령은 프로세서를 죽이는 데에 사용된다. 그래서 이 유틸리티의 이름도 kill이 되었다.
옵션
-signalID 프로세서에게 보낼 시그널을 지정한다. 시그널은 번호로 지정될 도 있고 시그널 이름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l 시그널 종류를 나열한다. 시그널의 종류는 시그널 번호 순서대로 이름으로 나열된다.
finger [-slpm] [사용자]
설명 : 시스템 상의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인수로 아무 것도 주어지지 않으면, finger는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들을 보여준다.
옵션
-s 사용자의 로그온 이름, 실제 이름, 터미널 이름, 로그온 시간 등등을 보여줌
-l -s 옵션 정보에 몇 가지를 추가하여, 여러 줄에 걸쳐서 보여줌
-p -l 옵션 정보에서 .plan과 .project 파일을 보이지 않는다.
su [-] [사용자ID][인수]
설명 :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서브 쉘을 생성하는 것으로, 잠시동안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작업할 필요가 있을때 사용한다.
많은 사람들이 su가 'super user'를 의미하는 말로 생각하지만, 사실은 'substitute user'를 의미하는 말이다.
옵션
- 하이픈(-)을 사용하면 새로운 쉘로 로그인할 때 자신의 로그인 과정을 수행한다. 옵션이 주어지지 않으면 새로운 쉘은 단지 쉘 역할을 수행할 뿐이다.
shutdown [옵션] 시간 [메세지]
설명 : 시스템을 종료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령어
옵션
-t n t 옵션 뒤에 n초를 명시해서, 경고 메시지를 보낸후 n초 후에 kill 시그널을 보냄
-h shutdown시 halt를 실행
-r 시스템 종료를 완료하고 나서 다시 부팅 과정을 수행(리부팅)
-c 이미 예약되어 있는 shutdown을 취소
-k 모든 동작을 제대로 수행하지만 시스템을 종료할 시간이 되면 아무것도 하지 않음. ksms 'just kidding'의 의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utorial] Howto install ralink RT5370 wifi adapter N150UA (0) | 2013.08.10 |
---|---|
[하츠] 다양한 개인 조립PC 구매 & 하츠 견적 가이드 [2013년 8월호] 컴퓨터 견적 (0) | 2013.08.09 |
사이트 비번을 바꾸어 보아요.. (3) | 2013.07.14 |
[엑셀] 페이지나누기 모두 원래대로(엑셀자동설정) (0) | 2013.07.13 |
컴퓨터 램 가격이 오른게 엘피다 파산 때문이었군요 ㅠㅠ (2) | 2013.07.09 |
사이트 비번을 바꾸어 보아요..
자신만의 규칙을 만들어서 사이트 비번을 바꾸어 보아요
에를들어 티스토리라고 하면
ti (사이트명 앞 2자리) + pass (내 고유비번) + 7 (사이트주소 길이) + 1234 (일련번호)
= tipass71234
이렇게 되네요.
저두 이제 바꿔볼려구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츠] 다양한 개인 조립PC 구매 & 하츠 견적 가이드 [2013년 8월호] 컴퓨터 견적 (0) | 2013.08.09 |
---|---|
[Tip] 리눅스 터미널 명령어 모음 (2) | 2013.08.02 |
[엑셀] 페이지나누기 모두 원래대로(엑셀자동설정) (0) | 2013.07.13 |
컴퓨터 램 가격이 오른게 엘피다 파산 때문이었군요 ㅠㅠ (2) | 2013.07.09 |
[하츠] 다양한 개인 조립PC 구매 & 견적 가이드 [2013년 7월호] (1) | 2013.07.09 |